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글의 인공지능 검색 엔진 '바드(Bard)' 의 특징과 '챗지피티(Chatgpt)'와의 차이점

by 굿필링 2023. 5. 13.

구글이 2023년 5월 10일, 인공지능 검색엔진인 바드(Bard)를 출시했습니다. 이는 구글의 대형 언어모델(LLM)인 LaMDA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검색엔진서비스로, PaLM2 언어모델을 탑재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80개국에 동시에 출시했습니다. 바드의 사용법과 챗지피티와의 차이점 및 특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드란 무엇인가?

바드는 인공지능 검색엔진으로, 구글에서, 정확히는 구글의 ai부서인 google ai에서 개발했습니다. 구글의 대형 언어모델인 LLM(학습된 지식을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서 얻은 텍스트와 콘텐츠를 인식, 인간과 유사한 응답을 함으로써 요약, 번역, 예측, 생성을 할 수 있는 딥 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는 테스트 버전이 운용 중입니다.

사용법

구글의 인공지능 검색엔진이기 때문에 구글 개인 계정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또한 만 18세 이상이 되어야만 사용가능하니 이 점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챗지피티와 마찬가지로 맨 아래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답을 해주는 방식으로, 현재 실험버전이라서 그런지 한글로 입력했을 경우는 한 번씩 엉뚱한 대답이 나옵니다. 챗지피티도 그러하듯 구글 번역기나 파파고, 크롬확장프로그램 중 자동 영어 번역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영어로 번역해서 질문하는 게 보다 정확한 대답을 나타냈습니다. 바드 사이트 주소: https://bard.google.com/

바드(Bard)와 챗지피티(Chat gpt)의 차이점

바드와 챗지피티의 차이점은 첫 번째 교육데이터 세트의 크기입니다. 바드는 텍스트 및 코드의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해 훈련되는 반면, 챗지피티는 텍스트의 소규모 데이트 세트에만 대해 훈련됩니다. 이런 교육 데이터 크기의 차이는 약간의 차이를 초래하는데, 바드는 복잡한 텍스트 형식을 더 잘 이해하고 생성하는 반면, 챗지피티는 간단한 텍스트 형식을 더 잘 이해하고 생성합니다. 두 번째 차이점은 챗지피티가 2021년까지의 자료에 대해 학습된 반면, 바드는 2023년 현재 자료에 대해서도 생성이 된다는 점입니다. 크롬 확장프로그램 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현재 챗지피티 자체 프로그램의 가장 큰 단점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조만간 OPEN  AI에서 챗지피티 업그레이드 버전을 내놓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세 번째 차이점은 훈련받는 방식입니다. 챗지피티는 지도학습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하여 훈련되는 반면, 바드는 강화학습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하여 훈련됩니다. 지도학습은 챗봇에게 레이블이 지정된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챗봇은 레이블과 일치하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강화학습은 챗봇에게 일련의 보상과 처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바드는 보상을 최대화하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그리고 두 인공지능 챗봇 사이트 화면 특징은, 챗지피티가 하나의 프롬프트 질문에 한 가지 답변을 하는 반면, 바드는 하나의 질문에 대한 답안을 3가지를 동시에 보여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사실 이것은 사용자마다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챗지피티보다는 좀 더 우수한 기능이라고 느껴집니다. 그리고 챗지피티는 커서가 움직이면서 답을 해 나가는 형식이지만, 바드는 로딩 후에 한 번에 화면에 답을 나타냅니다. 사실 챗지피티가 글을 적어나갈 때 좀 답답함이 적지 아니하게 있었는데, 바드는 그냥 조금 로딩 후에 한 번에 답을 나타내주니 조금 시원하다는(?) 그런 느낌입니다. 그러나, 동일한 질문에 대해 챗지피티(3.5 버전 사용 시)가 더 많은 단어를 사용하여 답변을 나타냈습니다. 아울러, 챗지피티의 특징인 번호를 매겨가며 답변을 하는 방식인 많은 반면, 바드는 서술형으로 나열하는 방식이 많았습니다. 번호 형식이 나은지 서술형이 나은지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글자 수에 대해서는 확실히 실험버전이라 그런지 아직까지는 챗지피티에 비해 저조한 내용을 나타냈습니다.

바드의 하나의 질문에 대한 3가지 답안 제시 기능
하나의 질문에 대한 3가지 답안을 제시한 바드 실행사례

마무리

챗지피티 3.5버전과 유료버전인 4.0버전이 돈을 주고 할 만큼의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습니다. 현재 바드가 실험버전이라서 지금 무료이지만 언젠가는 유료로 전환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드가 실험버전이라 가끔씩 내용중에 가끔씩 엉뚱한 답변이 보이기는 합니만 다양한 답을 얻기에는 하나의 질문에 3개의 답변을 보여주는 바드가 나은듯합니다. 아울러, 바드는 블로그 글처럼 서술형식을 많이 나타내기 때문에 이 점도 사용자에 따라 오히려 장점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챗지피티가 2021년에 멈춘(?) 인공지능 챗봇이라 바드를 사용하면 현재의 정보까지도 도출되는 답안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런저런 특징을 보며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둘의 관계는 적대적인 관계보다 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로 느껴지며, 이는 인공지능 챗봇이 보다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들이 되어 사용자에겐 오히려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습니다.

댓글